반응형
청년도약계좌 5년 5천만원으로 변경
(이전) 청년도약계좌는 윤석열 대통령의 대선 공약중 하나로 10년 만기가 되면 1억원의 목돈을 만들어 준다는 취지로 설계되었습니다. 만 19~34세의 일하는 청년이 소득에따라 일정 금액을 납입하
overpay.tistory.com
청년 도약 계좌는 윤석열 대통령의 대선 공약 중 하나입니다.
초기에는 10년 동안 1억을 적금하도록 설계되었다가
10년이라는 기간이 너무 길기 때문에
5년 동안 5천만 원으로 변경되었으며,
6월부터 가입이 가능합니다.
납입 금액 |
- 5년 만기 동안 매달 70만원 까지 납입 가능
가입 대상 |
- 가구 소득 중위 180% 이하
- 연 소득 7500만원 이하
- 만 19~34세 청년
해택 |
- 연 소득 7500만원 이하 : 이자소득 비과세
- 연 소득 6000만원 이하 : 이자소득 비과세 + 정부 기여금 지급
기여금 지급 비율 |
- 개인 소득 2400만원 이하 : 6% (월 24,000원)
- 개인 소득 6000만원 이하 : 3% (월 21,000원)
금리 구조 |
- 가입 후 3년 고정금리 + 이후 2년 변동금리
- 저소득층 청년에게 일정 수준 우대금리 (ex 0.5%) 부여하는 방안 논의
- 가입일로부터 1년을 주기로 가입자격 유지심사를 해 기여금 지급 여부나 규모를 조정
청년 지원상품 연계 |
- 청년희망적금과 중복 가입 X (만기 또는 중도해지 후 청년도약계좌 순차 가입)
- 청년내일저축계좌, 청년(재직자)내일채움공제, 각종 지방자치단체 상품 등 복지상품과 고용지원 상품과는 동시 가입이 허용
만기가 5년으로 긴 만큼 부득이한 사유에 따른 해지 시 불이익이 없도록 했습니다.
가입자의 사망·해외이주, 퇴직, 사업장 폐업, 천재지변, 장기치료 질병, 생애최초 주택구입 등 사유에 해당하면 중도해지 시에도 정부기여금을 받을 수 있고 비과세 혜택도 유지됩니다.
반응형
'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청년희망적금 입금한도 초과 (0) | 2023.02.01 |
---|---|
기업 재무제표 손익계산서 분석 매출액과 영업이익, 순이익 이란? (0) | 2022.09.10 |
청년희망적금 2년 1300만원 (0) | 2022.09.04 |
청년도약계좌 5년 5천만원으로 변경 (0) | 2022.09.04 |
2022년 연봉 실수령액 정리 (0) | 2022.08.31 |